임대차 계약 월세 선불과 후불의 차이, 계약 시점이 중요하다.
월세 계약을 하다 보면 선불이냐 후불이냐를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는 거 같습니다.
임대인의 집에 살면서 한 달 거주한 것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월세인데, 이걸 선불이냐 후불이냐로 구분된다는 것이 이해가 잘 안 되실 수도 있을 거 같아요.
쉽게 이야기하면 한 달 치 비용을 먼저 내냐 나중에 내냐의 차이입니다.
계약서 쓴 날 월세를 지불하면 선불

일단 월세를 거주하기 위해서는 부동산에서 월세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월세 계약서를 작성하면 보증금와 중개 수수료를 기본적으로 납부하게 되죠.
근데 여기서 하나 더 납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월세인데요.
만약 계약서를 작성하는 날에 월세를 납부한다면 월세 선불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즉, 월세는 임대인의 집에 한 달 거주하고 그에 대한 비용을 내는 건데, 아직 살지도 않았는데 한 달 치 월세를 냈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계약서를 쓰고 한 달 후에 지불하면 후불

이와 반대로 월세 계약할 때는 중개 수수료와 보증금만 납부하고 월세는 한 달 후에 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때는 월세 후불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사실 선불보다는 후불이 일반적인 경우로 한 달 거주한 것에 대한 비용을 내는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편합니다.
후불만큼 선불 납부도 많이 하기 때문에 선불로 했다고 불안해하거나 하실 필요는 전혀 없어요.
매달 내는 것은 똑같고, 계약 만기에만 차이가 있다.

| 월세 2년 계약 | 선불 | 후불 |
| 24년 1월 1일(계약일) | 첫 월세 지급 O | 월세 지급 X |
| 2월 1일 | 월세 지급 O | 첫 월세 지급 O |
| 3월 1일 | 월세 지급 O | 월세 지급 O |
| … | … | … |
| 25년 11월 1일 | 월세 지급 O | 월세 지급 O |
| 12월 1일 | 마지막 월세 지급 O | 월세 지급 O |
| 12월 31일(계약 만료일) | 월세 지급 X | 마지막 월세 지급 O |
| 월세 지급 횟수 | 24회 | 24회 |
간혹 선불로 월세를 납부하면 납부 기간이 달라진다고 생각하시거나 헷갈려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헷갈리실 게 없습니다.
어쨌든 매달 월세를 내는 것은 동일하고 계약 만기 때만 차이가 있다는 것만 아시면 됩니다.
만약 24년 1월 1일에 2년 계약을 하고, 선불로 월세를 냈다면, 만 2년 뒤 마지막 월세를 내는 것은 24년 12월 1일이 됩니다.
그렇게 되면 계약 만료일에는 월세를 지급하지 않아도 되죠.
반면 후불로 동일한 계약을 했다면 첫 월세는 2월 1일에 내고, 마지막 월세는 계약 만료일인 25년 12월 31일에 내야 합니다.
월세 선불과 후불의 개념이 그렇게 어렵지는 않지만 날짜 계산을 해야 되다 보니 어렵게 느껴질 수도 있을 것 같아요.
하지만 내가 도장 찍은 계약서를 10분 정도만 보고 잘 생각해 보시면 전혀 어려울 게 없기 때문에 헷갈리신다면 꼭 한번 확인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재테크 >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세교신도시 분양가 상한제 신규 분양 , 오산 세교 힐데스 하임 분양 일정 및 분양 가격은? (0) | 2024.10.23 |
|---|---|
| 임대차 계약 할 때 중개 수수료는 어떻게 계산할까? 월세 금액별 복비 계산하는 방법 (0) | 2024.10.20 |
| 전월세 계약할 때 넣어야 하는 특약 사항은?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내용 Top.3 (0) | 2024.10.04 |
| 전세사기 사기 매물 거르는 방법, 등기부등본도 제대로 봐야 한다. (0) | 2024.10.01 |
| 경기 북부 2,600세대 대단지 공급 예정, 고양 원당 더샵포레나 예상 분양가 및 입지 분석(예상 분양 일정) (0) | 2024.09.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