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25년 스트레스 DSR 3단계 실시, 내집마련 한도는 더 줄어든다.

사은목 2025. 2. 4.

내 집마련 이후로 대출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가 최근 내 집마련 상담 자료를 업데이트하면서 스트레스 DSR 관련한 내용을 추가했었는데요.

 

알고 보니 2024년부터 1~2단계가 시행되었고, 25년 7월부터 3단계가 실시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내 집마련 상담 자료에서는 수도권 1.2%로 적용해서 계산했었는데 실제로는 7월부터 1.5%가 적용된다고 하니 실수요자 분들의 고민이 정말 깊어질 거 같아요.

 

정책은 정부마다 매번 달라지긴 하지만 최근에는 완화책보다는 강경책이 많이 나오는 거 같습니다.

대출 관련 규제가 정말 다양해지고 있어서 집값에 대한 정부의 태도가 참 강경해 보여요.

 

 

스트레스 DSR 몇 % 반영되나?

 

남자가-박스를-집어-던지는-모습

 

 

 

구분 1단계 2단계 3단계
시행 시기 24년 2월~8월 24년 9월 25년 7월
적용 금리 스트레스 금리 25%
(0.375%)
스트레스 금리 50%
(0.75%)
스트레스 금리 100%
(1.5%)
적용 대상 주담대 주담대+신용대출 주담대+신용대출+기타대출

 

 

현재까지는 스트레스 금리가 0.75% 수준으로 적용되어 있어서 그리 크게 한도에 영향이 있지는 않습니다.

3단계까지 적용 시 대략 5천만 원 연봉으로 40년 기준 약 5천만 원 정도의 한도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대출을 받아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잔금 칠 때 5천만 원이면 엄청난 금액이거든요..

5천만 원을 나눠서 매달 납부할 때는 크게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데, 잔금 당시에 5천만 원이면 부담이 상당합니다.

아마 당장 7월부터 시행된다고 하면 잔금 시점에 대출이 나오지 않아 계약 사고가 많이 일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만약 올해 입주를 하거나 매수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좀 더 보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3.5억 대출 시, 한도는 8천만 원 줄어든다

 

DSR-계산-시뮬레이션

 

 

월 소득 700만원 / 30년 만기 / 기본 금리 4% / DSR 40% 기준
구분 미적용 1단계 2단계 3단계
스트레스 금리 0 % 0.375 % 0.75 % 1.5%
최종 적용 금리 4 % 4.375 % 4.75 % 5.5 %
예상 한도 4.3억 4.0억 3.8억 3.5억
증감액 - -0.3억 -0.5억 -0.8억

 

 

제가 상담 자료에서 시뮬레이션했던 월 소득 700만 원 맞벌이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DSR 40% 기준 시, 매달 원리금 280만 원이 원리금 최대 금액입니다.

 

스트레스 DSR 미적용할 경우에는 총 4억 3천만 원이 가능하죠.

하지만 당장 25년 7월 3단계가 시행되면 스트레스 금리 1.5%를 반영해서 총한도는 3억 5천만 원 수준이 됩니다.

금리 반영되면서 스트레스 DSR 시행 전 대비해서 무려 8천만 원이 줄어듭니다.

 

8천만 원이면 매수하는 지역이 달라지는 매우 큰 금액입니다.

 

그전에 있었던 어떤 대출 규제보다 강력한 규제가 등장한 게 아닌가 싶을 정도입니다.

아마 2025년에 기준 금리가 동결 또는 인하가 된다고 하더라고 정부의 규제 정책으로 인해 집값의 상승이 나타나기에는 조금 시간이 걸리지 않을까 싶네요.

 


 

그나마 제 주변에 있는 지인들은 이미 집을 매수했거나 2025년 상반기 전에는 집을 매수할 계획이라 큰 문제는 없을 거 같아요.

하지만 올해 집을 매수할 계획이 있으신 분들은 조금 더 상황을 지켜보면서 스트레스 DSR 대출 규제가 어떤 식으로 진행되는지 관망해 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