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 방문자 수 반토막, 네이버 알고리즘 변화와 쇼츠 영상 준비 영향일까?

사은목 2025. 4. 12.

4월 들어서 쇼츠 영상에 대해 공부해 보려고 준비를 하고 있는데요.

준비하는 과정은 따로 글로 한번 써보려고 해요. 이게 참 쉽지 않더라고요..ㅎㅎ

 

영상 공부를 하면서 상대적으로 블로그 발행 수가 줄었는데, 그걸 감안해도 방문자나 수익이 너무 많이 떨어진 것 같아요..

그래서 그 이유를 좀 찾아봤는데요.

 

아니나 다를까 네이버에서 또 뭔가를 테스트 중이라고 하네요..

그나마 다행인 건 검색 알고리즘의 영향이라 제가 글 쓰는 방법이나 운영하는 방식에 문제는 아니라는 거죠.

사실 검색 엔진 알고리즘이 변화한 것이 이유라면 블로거 로서는 딱히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 같아요.

 

 

네이버 서치 앤 테크, A/B테스트 진행 중

 

티스토리-방문자-급감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방문자-급감

 

 

 

일단 이 사진 2장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티스토리 방문자 수 그래프이고, 두 번째 사진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노출 그래프예요.

보이시나요?

절벽이 부럽지 않은 엄청난 경사의 하락...

사실 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이 정도로 방문자 수가 떨어진 적은 없었어요.

 

네이버-서치앤테크-게시글

 

그래서 네이버 서치 앤 테크를 바로 찾아봤죠.

바로 첫 번째 글에 A/B테스트 관련 글이 올라와있더라고요.

A/B테스트는 쉽게 말해 특정 요소를 변경시키면서 고객의 반응을 살피는 일종의 실험이라고 하는데요.

그 과정이야 어찌 이루어지는지는 모르겠지만, 그 결과가 저를 비롯한 블로거들에게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은 사실인 것 같아요.

 

물론 그 영향이 저에게는 부정적인 방향으로 방문자가 급감하는 효과를 주었지만, 반대로 생각하면 누군가는 이 테스트로 방문자가 급상승하는 계기가 될 수도 있죠.

 

쇼츠 영상 준비로 인한 글 발행 수 감소

 

쇼츠-공정사용-영상-준비

 

 

제 생각에는 네이버 검색 엔진의 알고리즘 변화의 이유가 가장 크다고 생각하지만, 개인적인 이유도 있을 거라 생각해요.

4월 들어서 쇼츠 영상에 대한 공부를 시작하면 과제를 좀 하고 있는데요..ㅎㅎ

아레나님이 과제로 주신 쇼츠 채널 벤치마킹, 기획안, 공정사용 영상 등에 대한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SEO-아레나-쇼츠-영상-강의

4월 중순까지는 글보다 기획, 대본에 집중해 보세요!

 

아무래도 직장인이 평일에 글도 쓰고 쇼츠 분석도 하고, 영상도 준비하고 모든 걸 다하기엔 시간이 부족한 것 같아요.

아레나님도 말씀 주신 것처럼 이번 4월은 블로그 글 발행보다 영상 준비에 조금 더 힘을 주고 해보려고 합니다.

쇼츠 공부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따로 글을 써볼 예정입니다. 

 

근데 한편으로 생각해 보면 아무리 글 몇 개 발행 못했다고 해도 수익이나 방문자가 바로 떨어진다는 게 좀 그렇네요.

경제적 자유를 이루려고 블로그를 하는 이유도 있는데, 이런 식이라면 디지털 노가다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됩니다..ㅋㅋ

 

검색엔진의 문제라면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4월에 방문자 수 급감의 원인을 크게 2가지로 봤는데요.

네이버 알고리즘 변화, 4월 발행 글 수 급감 이 2가지입니다.

발행 글 수는 시간을 어떻게든 만들어서 발행한다고 쳐도, 네이버 알고리즘 변화 문제는 블로거가 어찌해 볼 수 있는 상황이 아니죠..

 

네이버-방문자-급감-알고리즘-변화

 

네이버 고객센터 가서 내 글 노출 수 올려달라고 할 수도 없고.. 참 막막한 상황인 건 맞는 것 같아요.

그래서 여러 커뮤니티도 가보고 비슷한 경험을 한 분들의 이야기를 많이 찾아봤는데요.

다양한 반응이 있었지만, 결국 하나의 대응으로 귀결되는 것 같습니다.

 

양질의 포스팅과 꾸준함

 

오래 블로그를 운영하신 분들은 이런 검색 엔진의 알고리즘 변화 문제를 한두 번 겪은 게 아닐 겁니다.

대표적으로 카카오 서버 화재 사태, ChatGPT AI의 등장, 쇼츠 유행 등 다양한 이슈들이 있었죠.

만약 단순히 이런 외부적인 요인들로 인해 블로그가 다 망해버렸다면 아마 진작에 블로그는 다 없어졌을 겁니다.

 

물론 최근에는 AI 검색 비중이 높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아직 블로그는 유지되고 있기에 꾸준히 양질의 글을 발행하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어 보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