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이버 지식인 대신 네이버 클립? 첫 제작 후기와 유입 실험 결과는?

사은목 2025. 2. 15.

와이프는 네이버 블로그로 체험단을 하고 있어요.

덕분에 외식도 자주 하고 생활비도 아끼고 있습니다.ㅎㅎ

근데 최근 많은 체험단 사이트에서 네이버 클립을 올려 달라는 요청이 많아졌다고 합니다.

 

얼마 전 아레나님도 네이버 클립에 대한 글을 써주시면서 이 클립에 대한 중요성을 상당히 강조해 주셨는데요.

실제로 와이프 경험으로도 클립을 올린 후와 안 올린 날의 방문자 수 차이가 느껴질 정도라고 합니다.

 

이걸 보면서 그럼 저도 클립을 시작해 봐야겠다라고 생각이 들었고, 지난 주말에 하나 만들어 봤습니다.ㅎㅎ

실제로 하나 만들어 보면서 느낀 첫 후기와 그 결과가 어떤지도 같이 말씀드리면 좋을 거 같아요.

 

네이버 클립 첫 제작, 만들긴 쉽다

 

네이버-클립-영상

 

 

 

일단 네이버 클립은 PC버전에서는 제작이 안됩니다.

작은 화면으로 작업하는 걸 별로 안 좋아하는데 이건 좀 아쉬운 점 같아요..ㅎㅎ

그래도 실제로 만들어 보니 예전에 유튜브 한다고 까불었을 때 영상 만들었던 것보다는 훨씬 쉬웠습니다.

 

네이버 클립 제작 UI가 직관적으로 되어 있어서 영상을 편집하는데도 큰 어려움은 없었어요.

기술적인 부분은 어렵지 않은데 이걸 어떻게 영상 순서를 짜고 어떤 자막을 넣어야 할지 그게 문제더라고요.ㅎㅎ

 

제가 만들었던 영상은 오산에 있는 미나리 삼겹살집 방문에 대한 후기였는데 아래 영상입니다.ㅎㅎ

 

 

오산시 수청동 재오픈한 미나리 삼겹살 맛집입니다. #미돼지#오산시 맛집#미나리 삼겹살#오산시

 

m.blog.naver.com

 

첫 영상을 보면서 약간 손발이 오그라들고, 이게 진짜 먹힐까 라는 생각이 먼저 들더라고요..

그대로 꾸준히 하다 보면 클립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 익숙해지지 않을까 싶네요..ㅎㅎ 

 

유입 결과는 어떨까?

 

네이버-클립-유입

 

 

티스토리 통계에서 유입된 경로를 보니 못 보던 유입 경로가 있더라고요!

 

link.naver.com

 

이 경로는 블로그를 하면서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경로인데, 일단 네이버에서 들어온 건 확실합니다.

그렇다면 네이버 어딜까요?

인터넷을 좀 뒤져 보니 이 주소는 공유된 네이버 블로그를 통해 유입되면 이렇게 뜬다고 합니다.

 

제가 네이버 블로그를 시작한 것은 이번에 클립 만들면서 처음 한 건데, 그렇다면 이 유입은 네이버 클립으로 유입된 게 어느 정도 확실한 거 같아요.ㅎㅎ

물론 이게 3일 동안 5명이 들어온 거라 큰 유입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래도 하루에 1명 정도는 들어왔다는 거니까 작은 성공이 아닐까요..?ㅎㅎ

 

아직 네이버 클립은 추가로 만들고 있진 못하지만 주말에 또 하나 만들어서 해보려고 합니다!

 

네이버 지식인도 같이 할 예정

 

네이버-지식인-등급

 

네이버 클립과 동시에 원래 하던 네이버 지식인은 계속하려고 해요.

이왕 말 나온 김에 한번 찾아보니 예전에 비해 네이버 지식인에서 유입되는 수가 꽤 되는 거 같습니다!

 

3일 동안 방문 이력을 찾아보니까 한 80명 정도가 지식인으로 유입이 되었습니다.

하루에 약 25명 정도가 방문해 준 건데 이 정도면 꽤 의미 있는 통계 같아요.

 

네이버-지식인-유입

 

요즘에는 네이버 지식인 등급 올리는 것도 꽤 재미있습니다.ㅎㅎ

지금은 초인 등급인데 조만간 식물신 등급으로 올라갈 수 있을 거 같아요!

 

답변을 달면서는 비슷한 질문에 답을 하다 보니 너무 기계적인 답변 아닌가 싶을 때도 있어요.

그래도 남긴 링크로 80명 정도의 사람들이 들어왔다는 것은 도움이 되니까 들어온 거 아닐까 하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ㅎㅎ

 


 

처음 블로그를 시작할 때는 블로그만 하면 될 줄 알았어요.

근데 하다 보니 지식인도 해야 되고 클립도 해야 되고 브런치에 나중에는 쇼츠까지..

정말 할 게 많으면서도 배울 게 많아서 자칫 잘못하면 방향을 잃을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도 듭니다.

 

이럴 때일수록 블로그 글쓰기를 가장 기본으로 하고 하나씩 더해가는 식으로 해야 되지 않을까 싶네요.

댓글